지금은 스파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예전에는 생소한 파일 포맷인 epub가 많이 친숙해졌다. 20년 전만 해도 전자책이라는 것을 쉽게 접하는 수단은 PDA를 통해서였다. 초기 PDA 보급당시에는 지금처럼 소수의 메이저 운영체제가 소비자에게 선택받은 상태가 아니어서 100개 회사의 100개 제품이 100가지의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PDA 간의 데이터 교환은 대부분 TEXT 파일 포맷에 의존하였다. 그 당시 가지고 있던 문학작품들 일부를 현재 통용되는 ePUB 으로 바꾸기 위해 요 며칠 고민을 했다.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면 대부분 윈도우 운영체제 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한 방법만 나온다. (간혹  JAVA를 통한 방법도 나오기는 하나 불만스럽긴 매한가지이다.)


OSX라는 편한 운영체제에서 보다 편하게 ePUB 파일로 바꿀 생각에 포스팅을 결심했다. 

텍스트 파일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될 수 있으면 무료버전일 것, 가능한한 모바일 iBOOK에서 편하게 볼 수 있을 것 등의 기준을 세웠다.


필요한 프로그램은 애플 iWorks 의 Pages 라는 프로그램과 텍스트 파일 편집 프로그램이다. 맥에서는 많은 텍스트 파일 편집 프로그램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될 듯하다. 본인의 경우에는 BBEDIT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이전의 텍스트 파일 자료들은 거의 예외없이 Window 용 한글 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지금은 UTF-8, UTF-16 코드 등의 유니코드 사용이 일반화 되었지만, 예전에는 컴퓨터에서 한글을 자유롭게 사용하게 된 것은 윈도우의 보급과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윈도우 한글 코드로 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의 한글 코드를 유니코드 혹은 맥용 한글 코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파일 편집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사용법은 단순하다. 윈도우 한글 코드로 된 텍스트 파일을 단지 '불러와서' 다시 유니코드나 맥용 한글 코드로 된 파일로 '저장'만 하면 된다. 불어와서 다시 저장하는 과정만 거치면 되는 것이다. 이 과정은 불필요하다고도 느낄 수 있으나, Pages 프로그램이 현재 윈도우 한글 코드로 된 텍스트 파일을 지원하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거쳐야 한다. 후에 Pages 프로그램이 윈도우 한글 코드 텍스트 파일을 지원하면 필요없는 과정이 될 것이다.


이후,  Pages 의 파일 메뉴에서 '내보내기'를 선택하면 ePub 파일로 바로 변환해서 저장할 수 있다. 무척 쉽다. 본인의 취향에 맞게 폰트 종류나 크기, 문단 정렬방식 등을 고쳐서 ePub 파일 형식으로 저장만 하면 된다.


다만, 오래된 텍스트 파일의 경우 문단의 끝이 아닌 각 줄(line)마다 엔터키를 쳐서 줄바꿈한 파일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지금의 텍스트 프로그램 모두 Soft -Wrap 방식의 줄바꿈을 기본적으로 처리하여 화면 폭에 따라 자동으로 행바꿈이 처리되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못했다. 그래서 텍스트 입력 단계에서 행마다 강제적인 행바꿈을 하기 위해 줄마다 엔터키를 사용해서 줄바꿈을 해놓았다.


이를 그냥 놓고 사용해도 좋지만, 이북 뷰어 프로그램마다 폭이 달라짐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눈에 거슬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입력단계에서 행 마지막마다 존재하는 줄바꿈 처리를 일괄로 삭제해주는 프로그램을 통해 없애주는 편이 좋다.


윈도우 프로그램으로는 줄의 마지막에 있는 엔터를 없애는 도구들이 몇개 보이는데, 맥용은 찾질 못했다. (그래서 일단, 윈도우 용만 첨부한다.)


TEXT.zip


맥에서  Text 파일의 줄의 마지막마다 들어있는 CR-enter-return(즉, 엔터)를 없애기 위해서는 온라인 사이트를 이용하면 된다.


http://www.removelinebreaks.net

위의 사이트는 우리나라의 한 기업이 운영하는 사이트이다. 텍스트 입력 부분에 줄바꿈이 있는 텍스트를 입력을 해 놓고 옵션 선택에서 '줄바꿈 철리 방법', '문단 처리 여부' 등의 옵션을 선택하면 결과물이 출력된다. 출력된 텍스트 파일을 복사해서 붙여 넣으면 된다. 한글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하는데 편리하지만, 긴 텍스트 파일의 경우에는 에러를 뿝는다. 그래서, 본인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http://www.textfixer.com/tools/remove-line-breaks.php

위의 사이트는 외국사이트로서 사용법은 거의 비슷하다. 파일의 크기가 커도(텍스트의 길이가 길어도) 에러 없이 잘 변환해서 출력해 준다.


이밖에도 온라인에서 변환하는 것은 google 에서 remove line breaks 로 검색해도 쉽게 검색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맥에서도 옛날 텍스트 파일을 가지고 전자책 파일을 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다.




WRITTEN BY
사망늑대
Eule der Miner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