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장비업체에서 제공하는 DDNS 말고 따로 DDNS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곳은 없다.
다만, 그렇다고 포기는 하지 말기를...
다음 설명을 잘 따라하시면, 쉽게 설정할 것이라고 믿는다.
본래 이 글은 NAS 관련 카페에 해당 사항을 묻는 글에 대한 답변으로 작성하였다.
DDNS는 Dynamic DNS의 약자입니다. 흔히 DDNS 서비스를 해 주는 곳이 바로 DNS 서비스 중 Dynamic 부분을 해준다는 말입니다.
사용자가 Dynamic 부분을 직접 한다면, 굳이 Dynamic 부분에 대한 서비스를 받을 필요가 없겠지요.
아래 절차는 바로 Dynamic 부분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1). 먼저, 본인의 공유기에서 자신이 할당 받은 아이피 번호를 확인하세요.
(2). co.cc 나 wo.to 에서 자신의 도메인을 만드세요. 여기서는 일단 co.cc 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wo.to 도 동일합니다.)
일단 쉬운 단어로 이루어진 것은 유료입니다. 자신이 단어를 조합해서 만들면 대부분 무료입니다. 무료에 해당하는 것 중에 맘에 드는 것을 정하시면 됩니다.
(3). 무료 dns 서비스 업체에 가입하십시오. (무료 업체도 많이 있습니다.예를 들어 www.dnszi.com)
해당 사이트 가입시 (2)에서 만든 도메인을 등록하세요. 도메인 등록시 해당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넣어야 하는데, (1)에서 확인한 IP 주소를 넣으시면 됩니다.
그러면, 3-5개 정도의 DNS 서버 주소를 할당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다시 (2)번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자신이 만든 도메인을 설정합니다.(co.cc 의 경우 도메인 관리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2)번 사이트에서 자신의 도메인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설정하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서 Name Server(혹은 DNS 설정)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DNS 서버 주소를 넣는 칸이 주루룩 뜰 것입니다. 이 칸에는 (3)번 사이트에서 할당 받은 DNS 주소를 차례로 넣어 줍니다. (만약 5개를 할당 받으셨다면 5개 모두 넣어 주세요. DNS 서버의 갯수가 많을 수록 좋습니다.) 그리고, 저장하시면 됩니다.
설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즉 자신의 도메인과 자신의 IP가 매칭되기 까지 시간이 필요합니다.)
(5) 이후 자신의 도메인으로 모든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가 본인이 DNS 서비스를 하기 위한 기본입니다.
보통 공유기를 켜 놓으시기 때문에 사용 도중에 IP번호가 바뀌는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공유기를 껐다 켜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만약 원래(이전)의 IP가 아닌 새로운 IP를 할당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3)번 사이트에서 자신의 도메인에 새로 받은 IP 번호를 넣어주시면 됩니다.(이 경우에도 역시 적용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나, 처음 도메인을 만드실 때 걸렸던 시간보다는 훨씬 짧습니다.) ---> 이 부분이 바로 Dynamic 부분입니다. 자신의 ip가 변할 때마다 도메인과 매칭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DDNS 입니다. 자신이 IP가 변할 때마다 도메인과의 매칭을 직접 한다면 굳이 DDNS 가 필요 없겠지요?
자, 그럼, 모두 나만의 DDNS 서비스를 하시길 바라며...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XT 파일을 eBOOK용 파일 포맷인 ePUB으로 바꾸는 방법 (0) | 2015.03.11 |
---|---|
WordPress 수동으로 업데이트하기 (0) | 2012.09.16 |
OS X 마운틴 라이온 메모 앱 폰트 교체 (0) | 2012.08.03 |
Mountain Lion 에서 QNAP Time Machine 기능 사용하기 (0) | 2012.08.03 |
맥저널로 워드프레스 하기 (0) | 2012.05.28 |
WRITTEN BY
- 사망늑대
Eule der Minerva